본문 바로가기
스노클링-스킨다이빙-프리다이빙

프리다이빙 용어집

by 바람말 2015. 9. 8.
용어 영문 약자 설명
초과호흡 Hyperventulation    초과호흡은 다이버의 호흡욕구를 약간은 속이는 방법이다. 초과호흡이란 호흡횟수를 늘이거나 깊이를 더 깊게 호흡하는 것 또는 이 두가지를 병행하는 호흡방법이다. 초과호흡을 함으로써 몸 속에 더 산소를 지닐 수는 없다. 오히려 지나친 초과호흡은 힘들어서 숨이 더 찰 수 있는 것이다. 초과호흡의 신기한 효과는 혈중 이산화 탄소 농도와 관련이 있다. 빠르거나 깊은 호흡은 혈중 이산화탄소 수치를 낮추어 주는데 이것은 우리 몸이 숨을 쉬고 싶다고 느끼는 것은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이 아니라 이산화탄소가 혈액중에 어느 한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느끼기 때문이다.

- 다이빙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이산화탄소 농도에 무척 민감하다. 한 15초 정도 숨을 참음으로도 폐가 타는 듯한 고통과 함께 숨을 쉬고 싶다고 느낄 수 있다. 숙련된 다이버는 초과호흡을 함으로써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두뇌에 있는 혈액속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기관을 속일 수 있는 것이다. 정상적으로 신체의 장기들은 신진대사가 진행됨으로해서 이산화탄소를 일정한 양으로 배출하는데 초과호흡으로 인해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배출하였기 때문에 심각한 산소부족현상이 일어나기 전까지 호흡욕구를 느끼지 않음으로써 더 오래 수중에서 머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훈련에 의해 순전히 의지만으로도 호흡욕구를 억누룰 수 있는 것이다.

- 초과호흡은 중앙신경계통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나친 초과호흡은 대뇌로 공급되는 혈액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어지럼증과 팔다리에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적당한 초과호흡은 다이버를 행복하고 유쾌하게 만든다. 이러한 결과는 지나친 자만감을 불러와서 물 속에 너무 오래 머물게 만들어 다음과 같은 현상을 초래한다.

- 다이버가 물 속에서 하강과 상승을 함으로써 변화하는 수압은 내가 진공효과라고 부르는 메카니즘에 의해 산소를 순식간에 빼앗아 가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몸 속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압력은 지속적으로 균형을 마추게 된다. 신체에 필요한 산소는 폐속에서 가져오게 된다. 다이버는 하강중에 폐가 압축됨으로해서 폐속의 산소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하강 중에는 이러한 압축현상으로 인해 뇌와 조직들은 산소를 사용하는 게 오히려 쉽게 된다.

- 이러한 현상은 폐속에 산소가 남아있고 계속 하강 중이라면 그렇다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상승 중에 일어난다. 상승함에 따라 수압이 줄어들고 그에따라 다이버의 폐는 다시 팽창하게 되고 이러한 결과로 폐속의 산소 압력은 급격하게 줄게되고 이는 산소농도를 심각한 수준으로 낮추게 된다. 하강 중에 폐가 압착됨으로써 산소가 몸속으로 밀려들어가는 현상이 이제는 반대로 발생하게 된다.

- 진공현상은 이러한 과정에서 몸에서 폐로 다시 빨려나오는 산소의 순흐름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수심 3~5미터에서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데 이는 상대적 폐의 팽창률이 이 지점에서 가장 크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기절현상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기절은 순간적으로 아무런 사전 징후없이 발생한다. 이러한 기절을 몸 속에 산소가 심각하게 부족하기 때문데 발생하는 것이면 말하자면 뇌의 파워스위치를 끄는 것과 같다.
-출처 KFT
SWB 얕은 물에서의 기절 Shallow Water Black Out SWB 깊은 수심에서 낮은 수심으로 올라올때 폐가 팽창하면서 산소가 폐쪽으로 몰려 뇌로 가는 산소 부족으로 기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상.
삼바 Loss of Motor Control - 'samba' LMC 블랙아웃의 전단계로 인식되며 보편적으로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머리나 손의 떨림, 일시적 기억손상, 청색증 현상을 보인다. 다이버에 따라 본인이 인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심각한 경우 익사로 이어질수도 있으므로 초기대응이 중요하다.
BO 기절 block out BO 블랙아웃 기절, 버디나 세이프티가 없거나 보지 못한 상황에서 BO가 오면 1분내에 뇌손상이 시작되어 4분이 지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DYN 다이나믹 Dynamic With Fins DYN 다이나믹 핀 방식이라고도 하는데 수심 1m 내외의 수영장에서 진행되는 프리다이빙 거리 기록경기로 핀을 사용한다. static apnea와 달리 동적이다.
DNF 다이나믹 노핀 Dynamic Without Fins DNF 다이나믹에서 맨발로 경기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는데 수심 1m 내외의 수영장에서 진행되는 프리다이빙 거리 기록경기로 핀을 사용하지 않는다.
CWT 콘스턴트 웨이트 Constant Weight CWT 불변 웨이트 방식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상승과 하강시 다른 보조 수단 없이 동일한 웨이트를 착용하여 진행하는 수심 기록경기 방식으로 핀을 사용한다.
CNF 콘스턴트 웨이트 노핀 Constant Weight Without Fins CNF 불변 웨이트 맨발 방식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상승과 하강시 다른 보조 수단 없이 동일한 웨이트를 착용하여 진행하는 수심 기록경기 방식으로 핀을 사용하지 않는다.
FIM 프리 이멀젼 Free Immersion FIM 핀 없이 드림줄을 잡고 상승과 하강을 하는 수심 기록경기 방식으로, 동일한 웨이트를 착용해야 한다.
VWT 베리어블 웨이트 Variable Weight VWT 가변 웨이트 방식 방식으로 하강시에 보다 빨리 내려가기 위하여 웨이트(체중의 1/3로 제한)가 달린 하강 기구를 사용하며, 상승할 때는 웨이트를 버리고 핀을 사용하거나, 드림줄을 잡고 올라올 수 있는 수심 기록경기 방식이다.
NLT 노리미트 No Limit NLT 무제한 방식으로 하강시에 보다 빨리 내려가기 위하여 웨이트(무제한)가 달린 하강 기구를 사용하며, 상승할 때는 리프트백을 이용하여 올라올 수 있는 수심 기록경기 방식이다.
MDR 포유류 잠수반사 mamalian dive reflex MDR 포유류 잠수 반사. 고래를 포함함 모든 포유류는 물속에서 심박수가 감소되고 혈관이 수축되어 결과적으로 물속에서 산소 소모를 최소화하는 반사작용을 가지고 태어난다. 사람의 경우 어른보다 어린아이의 MDR이 강하다. 어른은 훈련을 통해 강화시킬 수 있다.
- 심장박동이 정상성인의 경우 10~50% 감소
- 심장과 폐,뇌 등 중요 장기 이외의 혈관이 수축되어 신체에 필요한 산소량이 줄어듬.
FRC  폐의 공기를 절반이상 뺀 상태   FRC 평상시 호흡을 뱉았을 때 폐에 남아 있는 공기량, 폐가 팽창도 수축도 되지 않은 상태
STA 스테틱 static apnea STA 수영장 수면에 얼굴(입과 코)을 담그고 무호흡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기록경기 방식이다.
수면 밖에서 하는 걸 일반적으로 드라이 스테틱이라고 한다. dynamic apnea와 달리 정적이다.
apnea 무호흡 apnea   스킨다이빙, 프리다이빙을 일컫는 말로 많이 쓰임.
BTV 핸즈프리(유스타키오관의 자발적 개방)   BTV 실행방법: 하강 도중 유스타키오관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을 수축시켜 개방하는 방식. 유스타키오 관이 물리적으로 개방 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변 근육이 수압의 증가에 따른 유스타키오 관의 압착을 방지 하게 된다. 이러한 근육수축을 통하여 폐에 있는 공기가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내이로 전달 되게 함으로써 압력평형을 유지한다.

 

잇점: 자세의 스트림라인 유지 및 체내 에너지 절약에 이상적이다. 정확하게 실행 하였을 경우 다른 기법보다 안전하다.

단점: 유스타키오관 주변을 둘러 싸고 있는 근육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 때론 다이버 개개인에 따라서 유스타키오관이 작은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이 기법을 실행 하기가 매우 어렵거나 경우에 따라 불가능 하기도 하다. 효율적인 이퀄라이징을 위해서는 좀 더 느린 속도의 하강을 해야 할 수도 있다. 다이버의 잔기용적(RLV)보다 적게 되는 수심에서는 일반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한 기법이다.
프렌젤(횡경막 방식) Frenzel Frenzel 실행방법: 입안에 공기를 모으고, 후두개를 닫은 다음 연구개를 열어주고, 혀, 입 및 볼살을 이용하여 정압(Positive Pressure)을 가해 주면 입안에 있는 공기가 유스타키오 관을 통하여 전달 되게 된다.

 

잇점: 편리하다. 발살바 기법보다 안전하며, 플루이드고글 및 노우즈클립을 착용 했을 때 자세 유지에 매우 좋다. 중간속도 혹은 빠른속도의 하강에서 사용 가능하다. 프렌젤 기법은 적절하게 훈련 되었을 경우 잔기용적(RLV) 이하의 수심에서 효율적이며, 흉부, 흉곽의 적응에도 효과를 발휘한다.

단점: 많은 훈련이 필요하며, 연구개, 후두개 및 혀 근육을 이용한 많은 연습을 해야 한다.

 

주의사항: 개인의 한계보다 더 깊은 수심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폐 혹은 기도의 외압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발살바 Pinch and Blow   실행방법: 내이 및 마스크를 이퀄라이징 하기 위하여, 코를 손가락으로 마주잡아(Pinch) 코로 공기가 나가지 않도록 한 다음, 복근부위 및 흉곽근육을 수축시켜(날숨) “불어 내어”(Blow) 이퀄라이징을 한다. 체내의 공기는 유스타키오관으로 유입되어 내이의 압력을 외부 수압과 평형을 이루도록 해 준다.

 

잇점: 배우기가 쉽다

단점: 공기 소모량이 많다. 빠른 하강을 실행 할 때에는 이퀄라이징 속도가 느려서 완벽한 이퀄라이징을 하기가 어렵다. 깊은 수심에서는 복근과 흉곽근을 사용 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는 상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주의사항: 깊은 수심에서 실행 할 경우 귀와 폐에 기압장애에 따른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다이버의 잔기용적보다 적은 수심에서는 비효과적이다.
마우스필 Frenzel Fattah Mouth-Fill   실행방법: 프렌젤 기법과 동일 하지만, 특정 수심에서 마우스필 기법을 한차례 실행 한 다음 이후 다이빙 시간 내내 유지 한다. 증가하는 외부압력에 대한 반대급부로 연구개를 열고, 혀, 턱 및 볼살의 압력을 유지하여 지속적인 압력평형을 실행 한다.

 

잇점: 모든 수심에서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 빠른 하강을 쉽게 해 준다. 잔기용적(RLV)보다 훨씬 깊은 수심에서도 효과적이다(이때 한계는 마우스필 용량에만 제한을 받게 된다) 지속적인 압력평형을 하기 때문에, 유스타키오관 내부의 압력저하는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단점: 연구개, 후두개, 혀 근육을 이용한 많은 연습과 훈련을 필요로 한다

 

주의사항: 개인의 한계보다 더 깊은 수심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폐 혹은 기도의 외압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퀄라이징, 이퀄(압력평형) Equalizing    이관(유스타키오관), 부비동의 압력을 수심에 따라 맞춰주어서 압력차에 의한 통증이나 부상을 줄이는 기술.
컨트럭션(호흡충동) contraction    호흡충동, 몸에서 보내주는 CO2 배출신호로 CO2 농도가 낮을 때 온다. 보통 강한 호흡충동과 함께 횡경막이 꿀렁꿀렁거리는 느낌이 같이 온다. 이 컨트럭션은 O2 농도와는 무관하다... O2 농도에 따른 몸의 알람시스템은 없다. O2 농도가 낮으면 그냥 셧다운된다...^^;;;;
diaphragmatic contractions 횡경막 수축
스킨다이나믹     울 카페 용어로 수면에서 스노클을 물고 하는 핀질로 이동하는 다이나믹 기술,  펀다이빙시 다이빙 포인트로 이동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기술.
회복호흡     출수한 직후에 3~5회에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회복 호흡.  출수 직후 최소로 숨을 내 뱉은 후(쥐어짜듯 내뱉지 말고 편한 날숨)에 빠르게 흉식호흡으로 들숨 2초간 참고 또 최소로 숨을 내뱉고 빠르게 흉식호흡으로 들숨 식으로 3회이상 반복, 회복호흡은 출수시 자동으로 할 수 있게 습관화되어야 함. 핵심은 숨을 다 뱉지 않는 것임.
넥웨이트     목걸이처럼 목에 착용하는 웨이트, 보통 고무튜브안에 구슬납을 넣어 만든 1~2kg 웨이트, 덕다이빙을 많이 하는 프리다이빙에 많이 쓰이며 허리에 차는 웨이트와 더불어 중성부력을 위한 무게 분산 효과가 있음.